자동 패키지 관리자 yum, apt-get


1. yum 의 개념

Yum은 Yellow dog Update라고도 하고 Duke University에서 RPM 설치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패키지 관리자이다.

Yum은 패키지 저장소를 수요되는 패키지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하여 설치까지 처리하면서 패키지들의 의존성을 고려하여 설치할때 패키지 의존성에 대한 error를 줄일 수 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5에서는 Yum으로 패키지를 설치한다.

주로 Redhat 계열의 OS(Centos,  Fedora 등)에서 사용 한다.


2. apt-get의 개념

apt-get(Advanced Packaging Tool)은 우분투(Ubuntu)를 포함안 데비안(Debian)계열의 리눅스에서 쓰이는 팩키지 관리 명령어 도구다.

우분투에는 GUI로 되어 있는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도 있기는 하지만 이런 저런 개발관련 패키지를 설치할 때는 커맨드기반인 apt-get이 더 편하기도 하다. sudo는 superuser권한으로 실행하기 위함이다.


3.rpm의 개념

RPM 패키지 매니저(RPM Package ManagerRed Hat Package Manager)는 원래 레드햇에서 사용되었던 패키지 파일이었지만 현재는 많은 RPM 기반 배포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두 가지를 말하는데, 하나는 RPM 패키지 그 자체와 또 하나는 RPM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RPM을 사용하면 각종 소프트웨어의 설치 및 업데이트를 굉장히 편리하게 할 수 있다.

RPM은 Linux Standard Base의 표준 패키지 포맷 중 하나이다.

-wiki 백과 참조


4. dpkg의 개념

dpkg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소프트웨어이다. dpkg 명령어가 .deb 패키지의 설치, 삭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된다.

dpkg 그 자체는 저레벨의 도구이며, APT와 같은 고급 도구들이 복잡한 패키지 관계와 패키지를 원격에서 받아오는 등의 일을 한다. 앱티튜드 (Aptitude), 시냅틱 (Synaptic) 등이 dpkg 자체보다 많이 쓰이는데, 패키지 의존성을 다루는 더 많은 방법과 더 이해하기 편한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데비안 패키지 "dpkg"는 dpkg 프로그램과 더불어 패키징 시스템이 작동하게 하는 dpkg-statoverride, dpkg-divert, dpkg-trigger and update-alternatives 외의 몇몇 프로그램을 설치한다.[2] dpkg는 start-stop-daemon, install-info와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하며, install-info는 일반적으로 하위 호환성을 위해 남겨진다.[3] (현재는 별도로 개발, 배포된다.) 데비안 패키지 "dpkg-dev"는 아래에 설명된 다양한 도구들을 포함하고 있다.

-wiki 백과 참조



1,2번과 3,4번의 차이점


차이점 openssh-server를 설치 한다 가정 하에


우선 openssh-server를 설치하려면 종속 패키지 까지 설치를 해야 한다.


yum이나 apt-get을 사용하면 인터넷에 상에 올라와 있는 설치 할 패키지 뿐만이 아니라 종속 된 패키지 까지 자동으로 패키지 설치를 관리 해주는 명령어이고


rpm, dkpg 는 오프라인 명령어이다 apt-get 이나 yum으로 설치가 안되는 패키지들이 존재 한다. 이럴 경우 직접 내려 받아 rpm또는 dpkg로 설치를 해주어야 한다.




1. apt-get install을 사용하여 설치 할 경우 의존성 패키지 까지 설치 할 것인지 묻는다.



2. dpkg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 할 경우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렉토리 설명  (0) 2017.06.29
리눅스 소개  (0) 2017.06.29

리눅스 디렉토리 소개


/bin 디렉토리는 일반 사용자 디렉토리 root 사용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의 명령어를 도와주는 디렉토리

 - root/bin

 - usr/bin 

 - usr/local/bin


/sbin 시스템 바이너리 ifconfig, fdisk 하드 웨어적이나 시스템 적으로 건들여야 할 디렉토리


/boot -> 부팅 될 때 필요한 요소들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


/dev -> 하드 웨어에 물려 있는 장치들이 존재 하드 디스크, 램카드 등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디렉토리


/home 사용자 계정이 물려 있는 디렉토리


/lib64, lib, usr/root/lib 는 라이브러리가 물려 있는 곳 개발에 필요 한 라이브러리들이 존재 하는 디렉토리


/media CD-rom, USB 등 외부 장치와 연결 되어있을때 생성 되는 디렉토리


/mnt /media와 마찬가지 미디어는 os가 자동적으로 마운트 해주는 디렉토리이지만 mnt는 사용자가 직접 마운트 하는 장치들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


/opt 윈도우로 따지면 소프트웨어가 설치 되는 디렉토리


/proc 현재 메모리나 시스템에 올라가 있는 활성 정보들이 있는 디렉토리- 실행 되고 있는 프로세서 정보들이 존재 한다.


/run 현재 실행 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 Ubuntu만 존재 하는 것 같다.


/snap 아마 OS 스냅샷을 생성 하면 이쪽으로 들어가지 않을까 싶다.


/sys 시스템 디바이스 상태를 보여주는 디렉토리


/tmp 임시 파일 디렉토리, 임시적으로 생성 되는 디렉토리


/var 가변적인 파일들이 담기는 디렉토리 클라우드에서는 이디렉토리가 영구 디렉토리로 많이 쓰인다.


/etc 환경 설정 하는 파일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


초짜 개발자가 정리한 파일입니다 피드백 주세요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패키지 자동 설치 관리자  (0) 2017.06.29
리눅스 소개  (0) 2017.06.29

리눅스의 종류 Ubuntu, RHEL, SUSE, Debian, Mandraike 등이 존재 한다.

만든 사람은 리누스 토발즈로 스티븐 잡스와 빌 게이츠와 썰전이 많이 이루어 졌던 것 같다.

https://namu.wiki/w/%EB%A6%AC%EB%88%84%EC%8A%A4%20%ED%86%A0%EB%A5%B4%EB%B0%9C%EC%8A%A4


Ubuntu는 Debian에서 파생 되었다 패키지의 끝이 deb로 끝난 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둘 다 사용해본 결과 패키지 설치 시 Ubuntu는 루트 권한이 아닐 경우 sudo를 명시 해야 하지만 Debian은 sudo를 명시 하면 에러가 발생 한다.

  원래 다른 OS에서는 sudo 권한 안에서 패키지를 설치를 하지만 루트 권한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보안적인 측면에서 루트 권한이 아닌 일반 사용자 권한에서도

  루트 권한을 활성화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지원 되는 것이라 생각 한다.

 - Debian은 Android의 OS가 된다


RHEL은 Fedora Project,Centos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면 된다. 차이점은 상용과 오픈소스라는 것이다.

 - RHEL은 상용 OS임으로 검증 된 패키지를 올려야 하는데 패키지를 검증 하는 곳이 Fedora, Centos에서 검증을 하고 반응이 좋으면 

   유료화 패키지로 변형해서 RHEL에 올린다.


SUSE -> OPEN SUSE, Enterprise SUSE가 존재하고 IBM에서 주로 사용한다.

 - OPEN SUSE는 Fedora Project,Centos와 비슷한 개념이다 패키지를 검증하고 반응이 좋으면 Enterprise SUSE로 패키지를 넘긴다고 한다.


 

리눅스의 소개

- 모든 것을 파일 처리 개념으로 처리 CPU나 메모리나 모든 개체들을 파일 처리 개념으로 처리 한다.

  cat meminfo, cat cpuinfo 등 모든 오브젝트 개념을 파일 처리로 개념을 하는 것이다.


아직 배울게 많은 초짜개발자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패키지 자동 설치 관리자  (0) 2017.06.29
리눅스 디렉토리 설명  (0) 2017.06.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