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 패키지 관리자 yum, apt-get
1. yum 의 개념
Yum은 Yellow dog Update라고도 하고 Duke University에서 RPM 설치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패키지 관리자이다.
Yum은 패키지 저장소를 수요되는 패키지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하여 설치까지 처리하면서 패키지들의 의존성을 고려하여 설치할때 패키지 의존성에 대한 error를 줄일 수 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5에서는 Yum으로 패키지를 설치한다.
주로 Redhat 계열의 OS(Centos, Fedora 등)에서 사용 한다.
2. apt-get의 개념
apt-get(Advanced Packaging Tool)은 우분투(Ubuntu)를 포함안 데비안(Debian)계열의 리눅스에서 쓰이는 팩키지 관리 명령어 도구다.
우분투에는 GUI로 되어 있는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도 있기는 하지만 이런 저런 개발관련 패키지를 설치할 때는 커맨드기반인 apt-get이 더 편하기도 하다. sudo는 superuser권한으로 실행하기 위함이다.
3.rpm의 개념
RPM 패키지 매니저(RPM Package Manager←Red Hat Package Manager)는 원래 레드햇에서 사용되었던 패키지 파일이었지만 현재는 많은 RPM 기반 배포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두 가지를 말하는데, 하나는 RPM 패키지 그 자체와 또 하나는 RPM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RPM을 사용하면 각종 소프트웨어의 설치 및 업데이트를 굉장히 편리하게 할 수 있다.
RPM은 Linux Standard Base의 표준 패키지 포맷 중 하나이다.
-wiki 백과 참조
4. dpkg의 개념
dpkg는 데비안 패키지 관리 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소프트웨어이다. dpkg
명령어가 .deb 패키지의 설치, 삭제, 정보 제공을 위해 사용된다.
dpkg
그 자체는 저레벨의 도구이며, APT와 같은 고급 도구들이 복잡한 패키지 관계와 패키지를 원격에서 받아오는 등의 일을 한다. 앱티튜드 (Aptitude), 시냅틱 (Synaptic) 등이 dpkg
자체보다 많이 쓰이는데, 패키지 의존성을 다루는 더 많은 방법과 더 이해하기 편한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데비안 패키지 "dpkg"는 dpkg
프로그램과 더불어 패키징 시스템이 작동하게 하는 dpkg-statoverride
, dpkg-divert
, dpkg-trigger
and update-alternatives
외의 몇몇 프로그램을 설치한다.[2] dpkg는 start-stop-daemon
, install-info
와 같은 프로그램을 설치하며, install-info
는 일반적으로 하위 호환성을 위해 남겨진다.[3] (현재는 별도로 개발, 배포된다.) 데비안 패키지 "dpkg-dev"는 아래에 설명된 다양한 도구들을 포함하고 있다.
-wiki 백과 참조
1,2번과 3,4번의 차이점
차이점 openssh-server를 설치 한다 가정 하에
우선 openssh-server를 설치하려면 종속 패키지 까지 설치를 해야 한다.
yum이나 apt-get을 사용하면 인터넷에 상에 올라와 있는 설치 할 패키지 뿐만이 아니라 종속 된 패키지 까지 자동으로 패키지 설치를 관리 해주는 명령어이고
rpm, dkpg 는 오프라인 명령어이다 apt-get 이나 yum으로 설치가 안되는 패키지들이 존재 한다. 이럴 경우 직접 내려 받아 rpm또는 dpkg로 설치를 해주어야 한다.
1. apt-get install을 사용하여 설치 할 경우 의존성 패키지 까지 설치 할 것인지 묻는다.
2. dpkg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 할 경우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렉토리 설명 (0) | 2017.06.29 |
---|---|
리눅스 소개 (0) | 2017.06.29 |